목차
1. 개요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에서 청년들을 대상으로 진행 하는 상품입니다. ‘목돈만들기’ 라는 수식어가 붙은 만큼 5년간 매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5년간 70만원 씩 납입하면 만기 시 5,000만원까지 불릴 수 있습니다.)
2.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각 월마다 다릅니다. 2023년 11월의 신청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기간 : 23.11.06 (월) ~ 23.11.17 (금) 까지 입니다.
- 심사기간 : 23.11.20 (월) ~ 23.12.01 (금) 까지 입니다.
- 계좌개설 : 23.12.04 (월) ~ 23.12.15 (목) 까지 입니다.
3. 가입조건
ⓐ 나이 : 신규 등록 기준 만 19세 ~ 만 34세 이하 (병역 이행자는 6년 연장하여 만 40세까지 가능)
ⓑ 소득 : 전년도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 가구 원수에 따라 중위소득 180% 이하인 자

ⓓ금융소득종합과세 : 청년도약계좌 등록일 포함 3년 중 1회 이상 과세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을 것
4. 기여금 및 이자
기여금은 정부에서 납입금액과 소득에 따라 차등을 두어 돈을 보태 목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는 금액입니다. 납입 금액에 따라 다른 기여금은 이렇습니다.

기여금은 기본 적금 금리와는 별개의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기본 소득이 5,000만원인 가입자가 매월 70만원씩 납입했을 경우를 보겠습니다.
- 월 납입금 70만원 * 12개월*5년 = 4,200 만원이 됩니다.
- 거기에 은행 최대 이자인 6%를 적용하면 48,839,021원이 되고,
- 정부기여금 3.0%가 적용된 126만원을 추가로 받아 총 50,099,021원이 완성되는 것입니다.
(실제로는 은행과 급여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시로 든 것은 최대치인 6% 입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 비과세 인가요?
네. 나라에서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는 조건 상관없이 모두 비과세 입니다. 단, 중도해지시 비과세 헤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제외)
☆ 기여금이란 정확히 어떤 것을 말하는거죠?
청년도약계좌는 ‘내가 납입한 돈’ + ‘이자’ + ‘기여금’ 으로 목돈을 만드는 계좌입니다. 간단하게 월 납입금 70만원으로 5년간 모으면 4,200만원이 되고, 거기에 은행 이자와 나라의 ‘기여금’을 합해 5,000만원으로 불려서 되돌려준다는 뜻입니다.
☆ 나라에서 진행하는 다른 상품과 중복해서 가입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단 ‘청년희망적금’은 동시에 가입이 어렵고, 만기 후 가입을하거나 중도해지 후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같이 병행해도 됩니다.)
☆ 중도해지를 하면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인 중도해지 후에는 비과세 헤택과 정부기여금을 부여하지 않으나 특별중도해지 사유이면 모두 적용됩니다. (특별중도해지 :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의 폐업, 천재지변,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
또한 일반 중도해지의 경우 2개월 안에 재가입을 할 수 있게 해준다니 사정에 따라 상담을 받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5년이라는 시간이 길게도 느껴져 꺼려하시는 분도 계실테고, 소득이 높아지면 기여금이 적어져 별로라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잘 계산해서 따져보면 여유금액을 이런식으로 안전하게 불리는 것도 목돈 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